@리치맨의 생각과 매물정보
제주도에 있는 오래된 주택을 상상해봐.
면적은 그리 크지 않아도 돼. 한~ 20평 정도?
당연히 이렇게 외벽에 제주 화산석이 붙어 있겠지!
마당은 상당히 넓었으면 좋겠지?
키가 큰 오래된 고목들이 내 땅 전체를 빙~ 두루고 있어서,
밖에선 절대 안 보였으면 좋겠지?
전체 토지의 면적은, 넓은 마당이 있고 텃밭 수준을 넘어선
생업용 농지 크기… 약 900평 정도 되면 어떨까?
당연히 한 켠엔 귤나무도 몇 그루 있는 게 좋겠지?
대지가 아닌 진짜 농지안에 주택이 있는 건 어때?
말 그대로 진짜 영농을 위한 농가주택이잖아!
근데 미등기 건축물이야! ^^;
내가 살고 있는 동네 전체가 그냥 문화재야. 어떨 것 같아?
근데 지붕에 초가를 꼭 올려야 돼. 어때?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에 성읍민속마을이라고 알고 있지?
오늘은 이 모든 게 가능한 성읍민속마을 안으로 갈 건데,
일단 빗소리하고 새 소리 좀 들어봐봐. 리치맨이 찍었지만, 너무 좋아.
조용히 하고 들어보자! ….
어때? 힐링이 완죤 된 건 아니라도 입가심 정도는 됐지? ^^
아담한 주택 60㎡(18평). 그리고 외부에 창고 하나.

동서남북으론 오래된 고목들이, 일단 3m 씩은 되는 거 같네!
일단 밖에서 안 보이겠어!
요게 뭐야? 귤 나무네?! 요건 매실나무고!
심은 지 오래된 것 같지 않은데, 하나 둘 셋 넷..… 20그루는 되네?!
일단 딱 좋은 개수 네.
더 많으면 키우기 더 힘들어. 저 개수가 딱 좋아.
텃밭을 뛰어 넘는 생업용 농지크기….
그래!~ 요정도 크기를 원했던 거야~.
이렇게 농지 두 개 필지로 구성이 되어서 2,882㎡(872평)!
영농하기 딱 좋아!!~

보이는 저 집이 60㎡(18평)인데 미등기 건물이라고?
통상적으로 알고 있는 고(高)주택 보단 좀 세련된 것 같은데?!
샷시를 봐봐. 지은 지 얼마 안 되어 보여!.
저렇게 버젓이 주택이 있는데, 어떻게 지목이 ‘전’일까?
무턱대고 그냥 짓고 본 걸까?
아니면 농사용 관리사 창고 였던 걸 주택으로 개조를 했을까?
도저히~ 궁금해서 참을수가 없잖아.
그래서 밤 8시가 넘었는데도 바로 전화를 걸었지! ^^;
농사용 관리사 창고 였던 걸 주택으로 개조한 지 11년째 됐고,
지금 친인척이 거주를 하고 있는데 언제든지 필요할 때 비워 준다고 하네.
리치맨이 비를 추적추적 맞으면서도 주택 내부를 찍지 못했던 건
안에 사람이 계시더라고…. 괜히 그렇잖아! 그래서 못 찍었어.
용도지역은 특이하게도 두 개 용도지역이 겹쳐 있어.

뒤에 있는 필지는 그냥 깔끔하게 생산관리지역인데

앞에 요 땅에 용도지역이 두 개야.
이렇게 반은 계획관리지역, 또 이렇게 반은 생산관리지역!
뭐가 좋고 나쁜 거야?
^^; 당연히 계획관리가 더 좋긴 좋은 건데,
무턱대고 맞다고 할 수 없는 게.

여기 노란 선이 자연취락지구를 나타낸 것이고,
여기 자주색 선이 문화유산 보호구역을 뜻하는 건데.

봐봐. 자연취락지구하고 문화유산보호구역엔
건축계획심의대상구역이라고 써 있지!
결국엔 계획관리지역 선을 따라 문화재로 묶에 있는 거라서
여기 계획관리지역 선 안쪽에 건축물을 짓잖아?
그럼 지붕에 초가를 씌워야 할거야.
초가를 한번만 씌우면 되냐? 아니지.
최소 2~3년에 한번씩은 씌위야 할거야. 귀찮잖아! ^^
만약 나중에 정식적인 건물을 짓게 된다면~~
생산관리지역 쪽으로 건물을 지어야지! ^^~

여기까지 분명하게 우리 땅인 것 같은데, 저기 가건물 3동은 뭘까?

요만큼이 딱 100평인데 10년 전에 임대를 주셨던 거래.
올해가 계약이 종료되는 해고, 앞으론 2년씩 임대를 주라고 협의가 왔다는데,
아직까지 계약을 연장한 건 아니라니까.
당장이라도 치워달라고 하면 바로 치워 주신다고 하네.

물론 여기 돌담도 뒤쪽으로 물려서 다시 쌓을 거라니까 참고 하세요!~
어쨌든 여길 어떤 용도로 사용중인지 궁금하지? ^0^

요기가 제주도 민가의 전통 초가집 만들어 놓고 관광객들 관람하는 곳인데,

우리 땅 요기 3동에서 꿀 팔고 떡 팔고 하는 장소래! ㅋㅋ
자! 이쯤에서 좀 더 전문적으로 들어가 보자.
주택으로 개조한 미등기 60㎡(18평).

이거 양성화해서 등기 해야 될 거 아냐?
어떡할 거야?

“난 주택으로 안 되어 있어서 더 좋아!~ 그냥 이대로 쓸께!”
…^^; 문제는 그게 아니고~,
어쨌든 우리 땅 2개 필지는 농지!
소유권이전 할려면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 받아야 하잖아.

안 그래도 까딸스럽게 구는데, 농지에 버젓이~
미등기 건물이 있으면 농·취를 발급 해줄까?
100% 안 해줘!
여기 갖다가 무조건 딴지를 걸 거란 말이지!~
그래서. 주인분께 상황을 설명드리고 의견을 나눴어.
요래서 내린 결론.

임대 준 100평안의 가건물은,
살 사람 나타나면 바로 철거 하는 걸루 하고

미등기 주택은, 멀쩡한 건물 뽀개기도 뭐하니까~
돈이 좀 들더라도 양성화를 시켜서 주자! 오케이? ^0^
계획관리지역 안에 있으니까.
60㎡(18평)이면 창고용지로 165㎡(50평)만 농지전용 하면 되겠네!
올해 공시지가 기준(2024/01/01) 43,400원/㎡ 이니까.
43,400원×165㎡ = 7,161,000원 정도가 농지전용부담금이네!~
이것만 들어가냐?
건축도면 앉혀야지 소방, 설비 이것저것 해서… 최소 1,500만원은 들어갈 거야.
^^; 그러니까 많이 깍지 마!~

요렇게 해서 가장 중요한 매매가는 얼마냐?
4억7,960만원(평당55만원꼴)이다.
관심이 있다면, 주변 거래사례를 한번 찾아 봐봐.
일단, 우리 보다 비싸!
괜찮은 위치에 있는 물건도 그렇게 많지도 않아!
귀농을 꿈 꾸는 사람들 분명히 계시잖아요?
물론 당장이 될 지 한참 후가 될 지는 모르겠지요. 어쨌든 꿈은 꾸고 있잖아요!
농사지을 땅 사고 집 지을 땅 따로 사실 거예요?
이렇게 한 방에 해결되는데 굳이? ^0^
‘성읍민속마을’하면 가장 떠오르는 게 뭐야?~
제주도 옛날 민가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초가집?
토속음식점에… 말(馬)고기? ^0^
더 깊이는 생각해 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고, 이거 하나는 확실히 알아.
제주도에 처음이던 여러번이던 왔다면, 꼭 한번은 들려야 하는 곳!~
자연경관도 좋고 볼거리 먹거리도 많은 성읍민속마을로 갑시다.
렛츠 고! ^^


@리치맨의_주저리_주저리
/밖엔 비가 오고 바람도 쎄게 불어요. 그래서 쉬어요! 끄읕~~
From. RichMan In GaeChuck.
'주택ㆍ창고ㆍ건물ㆍ기타 > 주택ㆍ창고ㆍ건물ㆍ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단지에 홀로 남겨져 잃혀진 폐가 한 채와 창고! @금악리 (2) | 2025.01.16 |
---|---|
마구간 두고 말 키우는 목장 하나 갖고 싶지? 제주도 말 목장이야기! @광령리 (2) | 2025.01.04 |
수월봉 아래 덩그러니 버려진 폐가 한 채! 비도 오고 그래서 생각이 나서…. @고산리_한장동 (0)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