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맨의_생각과_매물정보
/오늘 2025년의 셋째 날. 1월 3일!
벌써 2025년의 3일이 지났다. 시간 겁나 빠르다!~
오늘은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로 갈 건데.
제주도의 목장을 생각해 본 적 있어?
혹시 제주도 말(馬)을 본 적이 있어?
제주도에 아예 안 와봤으면 모를까. 제주도에 한 번이라도 와 봤다면
제주말(馬)을 못 봤을 리가 없지! 차 타고 지나다녀 봐도 어디든 눈에 잘 띄니까~
많이 알려진 대로 제주도 말(馬)은 무조건 다리 짧은 얘들만 있는 건 아냐.

각선미 남다른 얘들도 많이 있어! 물론 제주도 토종은 아니지만.
어쨌든 마구간 두고 말 키우는 걸 본 적이 있다면
나도 말(馬) 키우는 말 목장 하나 가지고 싶다고 생각해 본 적 없어?

“나도 말 한 마리 키우고 싶다.” 요렇게 생각해 본 적 진짜 없어?
생각을 해 봤던~ 안 해 봤던, 일단 제주도에선 말(馬) 키우기 좋아.
다른 곳 보단 확연하게 여건이 좋다고 봐야지!~
자! 본론으로 들어가서, 말 키우기엔 최적의 여건이나 분위기도 조성이 이미 되어
있는데… 이참에 제주도에 말 목장 하나 구비를 해 보는 건 어때?
…일단 목장이 맘에 드는지 좀 더 지켜보고 결정을 하고 싶다고?
^^ 그래~ 그럼 지금부터 마구간 2동이나 갖추고 있는 목장을 보여줄게!~
오늘 우리 목장의 필지는 모두 2개 필지.

지목이 ‘전’인 660㎡(200평) 하고 또 지목이 ‘전’인 11,827㎡(3,578평)해서
총면적은 12,487㎡(3,777평)이 된다.
목장이라면서 지목이 왜 ‘전’일까?
요건 잠시 후에 얘기하는 걸로 하고~!

우리 목장 2개 필지 안에는 마구간이 2개 동이 있어.

모두 동·식물 관련 시설(축사)로 되어 있고, 각각 연면적은 97.5㎡(29평)씩으로
똑같아서 2개 동의 총 연면적은 195㎡(59평)이 된다.
마구간이 지어진 시기와 건축물의 구조는 약간씩 달라서,

앞에 있는 요기 1동이 블록으로 지어진 블록구조로 2007.1.23.에 지어졌고

다른 필지인 요기 2동이 경량철골조로 2009.7.21.에 준공을 받았네!~
용도지역은 생산관리지역(건폐율20% 용적율60% 3층이하)이고
GIS 특별법상 4등급, 5등급 나오니까 특별한 제재 사항은 없고.
우린 말 목장을 하고 있는데, 머리 지진 나게 여긴 가축사육 제한구역이래. ㅋㅋ

어떻게 할 거야?~ ^^ 요런 곳 졸라~ 많아!
결론만 얘기하면,
가축사육 제한구역 안에서도 목장 용지로 지목 변경은 가능해!
다만, ‘전’으로 되어 있는데도 말 목장으로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던걸,
이걸 굳이 목장 용지로 지목 변경을 해 버리면~
요 때부터 농지법이 아니라 초지법이나 산지관리법을 따라야 하거든.
그때부터가 문제야.
목장 용지에서 다른 용도로 지목 변경을 할 때가 지랄 맞거든.
안 되는 건 아니지만, 귀찮을 일이 조금 있을 수도 있거든.
그나마 여긴 초지법에 따라 조성된 초지지역은 아니니까
초지법이 아닌 산지관리법을 따를 거거든.
그래서 사용 의무 기간은 없더라도, 전에서 목장 용지로 바꿀 때~
돈이 들어가!~ 산지전용비 ㅋㅋ

“지금 내 땅이 전인데 말 목장을 할 거니까 목장용지로 바꿔주세요!”
라고 하면 공짜로 바꿔줄 것 같아?
면적도 있어서 적지 않을 텐데… 돈 낼 거야?

…죽어도 그건 못 하 지;~ ^^;
요런 수고와 돈 까지 내면서 굳이~ 전으로 되어 있던걸
목장용지로 바꿀 필요가 있을까?
아~ 이런 건 있을 수 있겠다.
‘전’으로 되어 있으면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받아야 하니까
전입신고는 기본이고 제주도민이어야 하겠지!
구입한 다음에도 농사를 지어야 하는 경작의 의무도 있을 테고!
반면, 목장용지로 바뀌면 농지취득자격증명이 필요 없으니
누구나 구입할 수 있고 경작의 의무도 없어지겠네!~
제주도민이 아니면 일단 목장용지가 좋을 수도 있겠네!~ ^^;
아니지!~ 목장용지로 열심히 말 키웠다고 나중에 팔 때 사업용으로 봐줄 것도 아니잖아.
어차피 외지 사람이면 비사업용으로 볼 텐데…. 필요가 있을까?~

아~ 몰라 몰라~ 대가리 아파!~ -,,-;
그냥~ 이렇게 하자!
그때그때 상황에 맞게 행동하는 걸로.
목장용지로 필요하면 그렇게 상의를 하고
여건이 돼서 ‘전’인 상태로 구입이 가능하면 이대로 구입을 하고
아니면 신제주 시내까지 훤히~ 내려다보이는 동산진 곳에 있어서
바다 경관이 자랑스러우시니까.
목장이며 마구간을 싹~ 재껴서 밀어버리는 걸로 건축허가를 받아서
소유권 이전을 하는 걸로 해도 되고!
여기만 동산이 우뚝 솟아올라 있거든. 그래서 풍경이 정말 좋아!
굳이 말 목장을 안 하고 다른 용도로 사용을 해도 된다는 얘긴데.

최근에 진입도로의 확장공사를 진행해서 도로도 넓어졌고,

도로에 접한 길이도 약 120M나 되니까 쪼개기도 용이하고.
최근에 아스콘 포장까지 해놔서 평화로까지 요 도로를 타고 직진만 하면 되니까.
왔다 갔다 하기에도 되게 편해졌어.
마구간이 있어도 현재 농업용수를 사용하고 있어서 건축허가를 받으려면
상수도를 끌어와야 하는데, 알아봤더니 여기서 약 700M만 끌어오면 되더라고!
어쨌든 그래서 오늘 우리 말 목장의 매매가는 얼마냐?

11억3,300만원(평당30만원)꼴이다.
처음에 여길 갔을 때 사실 암울했어. 지금하고는 전혀 딴판이었거든!

나름 오랜 기간을 주인분과 밀고 당기기를 한 후에 소개를 하는 건데.

그러던 사이에 요쪽이 이렇게 밝아졌어. 여기저기 건물도 생기고
갑갑해 보이던 도로의 확장공사도 하고 주변에 어두웠던 나무도 사라지고.
싸고 비싸다 쉽사리 판단을 하진 말고, 목장을 한번 와서 봐봐.
꽂히면 구입하는 거고, 아니면 안 하면 되니까.
근데. 나름 자신은 있어. 현장을 직접 보지 않고 이렇게 영상으로만 보는 것 보단,
직접 찾아와서 눈으로 맞닥뜨리면 보이는 풍경이나 느낌이 다르 거든!
요런 건 자신 있으니까. 직접 한번 와서 보시길 꼭 추천 드립니다. ^^
오늘 우리 말 목장의 단점은 이미 봤지?

묫 님이 총 3곳에 계시는데,

쌍 묘인 여기 끝자락에 묘는 이장을 하기로 해서 없어질 것이고,
나머지 묘 2기는 이장이 안 돼!

협의를 아직 마치지 못했거든. 그래서 지금은 이장이 안 돼!
…^^; 무슨 말 할지 알지?

명당자리니까 못 님들이 계신 거야!~ 말 키우는 데 아무런 지장 없어!
장묘 문화가 급속도로 바뀌는 추세라서, 언젠가는 이장을 하실 거니까.
기다리면 연락이 오게 되어 있어. 기다립시다;~ ^^;
여건이 되고 상황이 돼서 여유가 있는 사람인데,
가뜩이나 내 말(馬) 한 마리 키울 생각을 하고 있었어!
여건도 되고 상황도 좋은 여긴 어때?
내 목장에서 내 말(馬)과의 여유로운 하루! ^^


@리치맨의_주저리_주저리
/오늘은 쉽니다. 굳이 할 말이…. 끄읕~~
From. RichMan In GaeChuck.
'주택ㆍ창고ㆍ건물ㆍ기타 > 주택ㆍ창고ㆍ건물ㆍ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단지에 홀로 남겨져 잃혀진 폐가 한 채와 창고! @금악리 (2) | 2025.01.16 |
---|---|
제주도에 있는 오래된 주택을 상상해봐. @성읍민속마을 (2) | 2024.11.29 |
수월봉 아래 덩그러니 버려진 폐가 한 채! 비도 오고 그래서 생각이 나서…. @고산리_한장동 (0)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