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치맨의_생각과_매물정보
/반응이 나쁘지 않으니까.
이번에도 믿을 수 없는 급매물 가격으로 어음리를 개척해 보지 뭐! @어음리 ^^
처음에 내놨던 금액에서 가격을 내렸습니다.
내린 가격이 시원할지 안 할지는 노코멘트 할 거예요.
판단은 각자가 알아서 하시는 거니까~
원래 평당 50만원 꼴인 4억4천만원에 나왔던 물건이,

가격을 내려서 지금은 깔끔하게 4억원만 받을 거야.

평당 45만2천원꼴 이라는 건데!
처음 50만원도 사실 가격이 괜찮게 나왔던 물건인데,

거기서 4천만원을 또 내렸다면 이건 무조건 저렴한 급매물이 틀림 없어!
지금부터 근거 자료를 보여 줄테니까. 잘 봐봐!
이게 뭔지 알아?

바로 금융기관에서 감정평가기관에 담보물에 대한 탁상감정을 의뢰한 결과표인데.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시세감정하고 담보감정은 엄연히 다른 거야.

시세감정은 현재 실거래 되고 있는 가격을 토대로 감정평가를 하는 것이라서
개인이던 기관이던 누구나 평가를 의뢰할 수 있고
현재 시점의 실제 시세를 반영하는 평가라서 감정가격이 대체적으로 높아!

반면에 담보감정은 금융기관이나 기타기관에서
대출을 목적으로 담보물을 평가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물건의 경제적 가치를 그대로 판단하지 않고
채권확보를 목적으로 판단을 할 수 밖에 없지.
그래서 대체적으로 시세감정 보다는 담보감정가격을
훨씬 더 낮게 책정을 할 수 밖에 없지.
근데. 봐봐!

우리 땅은 분명 담보감정 평가금액이 평당 50만원 수준이라고 나와 있지!

그래서 담보물에 대한 탁상감정금액이 417,417,000원 이라는 것도 보이지?
가격을 내려서 4억원. 그래서 평당 45만2천원꼴이잖아.
시세감정가격도 아닌 담보감정가 보다 우리 땅이 싸지!
급매물이 맞지?!
가격으로 애월읍 어음리를 다시 개척하는 거 맞지?! ^^

위치가 어디냐면~ 분명 어음리인데, 납읍리인지 상가리인지 어음리인지 약간 애매해~
상가리, 납읍리를 지나자 마자 우리땅이 있거든.
그래서 납읍리와 어음리의 중간에 있다고 보면 될 것 같고!

면적은 2,919㎡(884평)이나 되니까. 짱짱하지?!~
지목은 임야라서 농지취득자격증명 필요 없고,
누구나 구입이 가능하다는 아주 큰 장점도 있네!~ ^^

용도지역은 두 가지 용도지역이 겹쳐있어.

우측에 이 부분이 계획관리지역인데 약 68% 정도 되는 듯하고
왼쪽에 이 부분이 보전관리지역이야. 전체면적의 약 32%를 차지하는 정도.
건물 짓는다면 어디다 지어야 할까?
바보가 아닌 이상 당연히 오른쪽에다 지어야지. 왼쪽에는 주차장 하고!
설마…. 왜 그래야 하냐고 물어보는 사람은 없겠지?
비행기 다니는 꼴을 못 봤는데, 장애물 제한표면구역이라니까 그런줄 알고~
(공장설립제한지역) 공장 짓지 말라니까. 치사해서 안 짓는다 말하면 되겠고!
여러번 강조하던 횡단도로에 접해 있어!
그래서 당연히 (건축계획심의대상구역) 건축허가전에 먼저 심의 받아야 해.
GIS등급은 경관·생태계·지하수가 모두 하자 없으니까 제껴도 되고!
횡단도로는 엄청~ 좋은 것이라 했지?!~
우리 땅은 지적공부상 양면이 도로에 접해 있는 코너 각지에 있어!

그것도 사거리 코너에 딱 접해 있는 땅.

서쪽으로는 지적공부상 20m 폭의 왕복 2차선 도로에 접해 있고,

남쪽으로도 지적공부상 12m 폭의 아스콘 포장도로에 접해 있다.
주 진출입로인 20m 폭 도로에 접한 도로 면이 길이는

약 71m로 졸라 길게 물려서 열라 좋아!
뽑은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이 도로는 현재까지는 통행량이 그다지 많지 않아.
아직 때가 덜 탓다는 얘긴데!
그래서 앞으로의 미래 가치성에 우리가 더 주목을 해야 되는 이유가 되겠고!~
가격을 내리기 전 영상에선 여기에 창고를 지어보는 건 어떠냐고 제시를 했었지!
지금도 그 생각엔 큰 변화는 없어. 다만, 창고를 추천했다고 주택이나 상가건물 부지로
부적합하다는 얘기는 아니었는데, 그렇게 생각을 하는 것 같아서 정정할께!
주택이나 상가건물을 지어도 돼!
물론 부지가 크니까. 한 동 지을 부지는 아니겠지!~

뒤쪽으로 주택 몇 동을 짓고 앞쪽으로 상가건물
한 동이던 두 동이던 지어도 될 거야.
어음리 마을과 납읍리 마을에서 약 2㎞ 정도 떨어져 있지만,
도로가 워낙 훤칠하게 뽑아져서 아늑하고 조용하게 번잡하지 않게 살기 좋을 거야!
말이 애월읍 어음리라 읍 관내여서 그렇지.
제주공항 교차로에서 우리땅 까지 22㎞밖엔 안 떨어져 있어!
이도 저도~ 아니다. 그럼!~ 땅만 먼저 확보해 둬도 좋아!
바닥을 찍고 지하층까지 내려갔으면, 적어도 언젠가는
지하층에서 바닥까지는 올라오겠지!!
여유자금이 있는데 마땅한 운용처가 없어서 고민이었다면,

코인, 주식, 금, 딸러… 요런 것들도 좋겠지만, 뭐니 뭐니 해도 부동산이 최고다~!
농사짓는 임야니까 누구나 구입할 수 있으니,
법인이던 개인이던 여유자금만 있다면 모두 마찬가지야!
부동산은 반드시 주기가 있거든!~
다들 만만한 게 요즘 제주도라서 까기 좋아 하는 것 같은데….
자세히 봐봐라~ 제주도 같은 곳도 없다! 오늘은 여기까지!~ ^^


@리치맨의_주저리_주저리
/오늘은 춥습니다. 그래서 쉽니다! ^^ 끄읕~~.
From. RichMan In GaeChuck.
'4억원까지 > 제주시 지역(4억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시내 구도심 속 한복판 70년전 오래된 폐가 한 채! @이도일동 (2) | 2025.01.24 |
---|---|
180도 돌변한 월정해변의 마을 안 나대지! @월정리 (0) | 2024.12.09 |
영구조망을 가진자의 여유! @하가리 (2) | 2024.03.20 |
드디어 내가 빨대를 꽂는다! 제주도 금잔디 밟고 말야! 「애월읍 소길리 386평」 (4) | 2023.05.22 |
💦🛶호숫가 옆에 살자. 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삶! 「구좌읍_송당리 415평」 (0) | 2023.05.22 |